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방법 지원대상 유의사항 서울시에서 가사도우미를 지원합니다.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 등 가사노동의 어려움이 있는 가정에 가사도우미를 무료로 지원합니다. 예산 소진시 조기종료하니 서둘러 신청하세요. 오늘은 서울형 가사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신청방법과 지원대상, 선정안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원대상 - 서울시 거주하는 자 - 중위소득 150% 이하 -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고 있는 가구 - 임산부: 임신~ 출산 후 1년 이내 가구 - 다자녀 가정: 미성년 자녀(만 18세 이하) 2명 이상인 가구 *미성년 자녀: 2004년 6월 20일 출생자부터 해당 -지원규모: 약 13,000가구 (자치구별 상이) -지원횟수: 1가구당 총 6회 (1회당 4시간, 30분 휴게시간 포함) 2. 지원내용.. 2023. 7. 24.
똑똑한 아이를 만드는 5가지 독서 활동 독서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독서를 통해 인생이 바뀌었다는 사람도, 돈을 많이 벌게 되었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또한 독서를 통해 학습에 필요한 인지능력 뿐만 아니라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아이를 똑똑하게 만들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지 소개하겠습니다. 1. 주인공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유아의 인지 발달에 있어서 상호작용과 적극적인 소통은 매우 중요합니다. 주인공을 매개로 하여 대화를 이어나갑니다. 소통의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인공의 모습 자세히 관찰하기 주인공의 마음 어떤지 상상해보기 내가 주인공이라면 어떤 결정을 할지 생각해보기 어떤 캐릭터가 가장 마음에 드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2. 역할극 하기 아이들이 제일 .. 2023. 7. 20.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자.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은 정신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질병의 종류를 나누고 설명한 표준 참조서입니다. 많은 분들이 착각하시는데 아스퍼거 증후군은 병명이 아닙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이라는 이름은 DSM-5에서는 공식적인 진단명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2013년에 발표된 DSM-5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범주 안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DSM-5에는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요약을 포함하지 않으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특징과 진단 기준의 하나의 형태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역시 사회적, 언어적 및 대인 관계에서 상.. 2023. 7. 17.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육아 방법 "ㅇㅇ이는 사회성이 참 좋아요!" "우리 ㅇㅇ이가 소현이와 같이 놀고 싶대요!" 사회성이 좋은 아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어떤 육아를 해야할까요? 먼저 사회성이란 집단 안에 소속되어 타인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능력을 말합니다. 아동의 사회성은 인간관계 및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회성이 높은 어린이들은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대인관계에서 원만한 대화와 협동, 협력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집니다. 이번에는 아동의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사회성과 관련된 아이의 특성 살펴보기 아이들의 성격과 기질, 양육환경에 따라 다양한 성장의 모습이 나타난다. 내 아이의 사회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면 다음 중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상황에 대한 정확한.. 2023.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