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좋은 엄마란? 좋은 엄마의 모습 좋은 엄마의 조건 아이를 임신한 순간부터, 아이가 태어나고부터 좋은 엄마가 되고 싶다는 꿈이 자연스럽게 생겼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울고 떼쓰는 아이 앞에서 버럭 소리부터 지르는 엄마가 되었네요. 다시 한번 초심으로 돌아가 어떤 엄마가 좋은 엄마인지 알고 싶어졌습니다. 좋은 엄마는 어떤 조건을 가지고 있을까요? 좋은 엄마란 어떤 모습일까요? 첫째, 좋은 엄마는 아이를 있는 그대로 사랑합니다. 아이의 존재 자체를 사랑해주는 엄마는 아이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하며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엄마를 의미합니다. 지금 아이의 모습은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아이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아이는 약속을 잘 지키지 않거나 음식을 골고루 먹지 않을 수도 있고 게으른 모습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내 기대와는 다르다 할지라도.. 2023. 7. 7.
어른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어른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스스로 어른이 되었다고 느끼는 순간들이 있다. 처음으로 내 이름으로 세금을 내었을 때, 첫 월급을 받았을 때, 처음으로 운전대를 잡았을 때 운전하는 내 모습이 신기하고 제법 어른이 되었다고 느꼈다. 사전에서 ‘어른’을 검색해보면 ‘[명사] 1.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 2. 나이나 지위나 항렬이 높은 윗사람. 3. 결혼을 한 사람.’이라고 나오는데 나에게 해당되는 것은 3번뿐인 것 같다. 내가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지는 아직도 확실히 답하기 어렵다. 어느덧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지만 여전히 모르는 것이 태반이고 두려운 것이 많다. 그러나 나를 학생으로 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어느새 나는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 2023. 7. 6.
훈육은 언제부터 시작 해야 하나요? 훈육은 언제부터 시작해야하나요? 블로그나 각종 육아사이트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질문들 중 하나는 바로 “훈육은 언제 시작해야 하나요?”입니다. 보통 이러한 질문을 하시는 부모님들은 대게 아이가 돌이 지난 이후부터 두 돌까지가 가장 많습니다. 아마도 돌 이후 아이들이 걷고, 돌아다니고, 자기주장을 펼치게 되면서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고 그걸 제지하려는 부모님들과 부딪히면서 훈육의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ㄱㄱㄱ 그러면서 부모님들은 이제 슬슬 버릇을 바로잡아야 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시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직 너무 어린데...’하고 갈피를 잡지 못합니다. 어느 책에서는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는 시기부터는 훈육 시작해도 된다고 하지만 다른 책에서는 만 세 살 이전에는 이르다고 합니다. 다 말이 다.. 2023. 7. 4.
자녀를 올바르게 훈육하는 방법 자녀를 올바르게 훈육하는 방법 미운 세살, 미운 네살, 미운 다섯살... 아이의 미운 시기는 끝이 없는 것 같다. 자녀의 떼는 나날이 늘어가고 어떻게 훈육해야할지 잘 모르는 분들에게 자녀를 올바르게 훈육하는 방법을 소개해 보려고 한다. 훈육의 원칙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먼저는 부모가 허용 가능한 행동의 기준을 확실히 마련해야 한다. 부모의 기준에서 아동의 행동이 허용 가능한 일인지 혹은 수정해 주어야 하는 행동인지 확실히 구별을 해줘야 자녀가 혼란스럽지 않다. 부모의 기분에 따라 훈육을 달리한다면 아동 역시도 경우에 따라 달라지는 부모의 행동이 불공평하거나 불합리하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것은 부모의 권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뿐만 아니라 행동의 기준을 정했다면 일관성 있게 지.. 2023. 7. 4.